요즘 신문, 유튜브 등을 뒤덮는 이슈 증 하나가 바로 오픈 AI의 챗 GPT입니다. 사실 예전부터 있었던 챗봇 서비스가 요즘 왜 이렇게 이슈가 되는지, 그리고 앞으로 미칠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챗 GPT(Chat GPT)란?
챗 GPT는 오픈에이아피(Open AI)가 2022년 12월 공개한 대화 전문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입니다. 오픈 AI는 샘 알트만이 2015년 설립한 인공지능 회사로 링크드인의 리드 호프만,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등이 공동창립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오픈 AI는 2020년 딥 러닝을 이용한 언어 모델인 GPT-3을 선보인 이후 DALL·E 등 그림 인공지능, 그리고 2022년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인 챗 GPT를 연달아 출시하고 있습니다. 이 중 ChatGPT는 유저(사용자)와 AI가 주고받는 대화에서 질문에 답하도록 설계된 모델로 데이터가 누적된다면 구글 등 검색엔진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 언급됩니다.
ChatGPT가 이슈가 된 이유
2022년 12월 오픈AI의 ChatGPT가 출시된 이후 관련 산업은 물론 언론과 학계의 관심도 뜨겁습니다. 챗 GPT는 공개 이후 5일 만에 이용자 100만 명을 돌파했는데, 넷플릭스가 이용자 100만 명에 도달하기까지 3년 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 각각 10개월, 2개월 반 등이 걸린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음은 확실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기존 구글, 네이버 등 포털 기반의 검색 엔진의 입지를 흔들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텍스트 검색 기반의 기존 검색 엔진과 달리 챗GPT는 개인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질문과 대답을 한 번에 관통하기 때문에 '손가락의 자유'를 줄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현재 특정 정보를 찾기 위해서 검색 엔진에 적절한 키워드를 입력하고 이에 적합한 '답'을 선별해야 하는 유저의 역할을 AI가 대체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미디어의 발전과도 같이 이해해볼 수 있는데요, 인터넷이 보급된 이후 웹 정보의 대세는 단연코 텍스트였습니다. 이는 커뮤니티, 블로그, 포털 등의 발전으로 이어졌고 구글, 네이버 등이 성장할 수 있는 배경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유튜브, 틱톡 등 영상 기반 플랫폼들의 급속한 성장이 이루어졌고 이제 대중은 텍스트보다는 영상을 통해 보다 직관적인 정보 습득에 익숙해져 가고 있습니다. 챗 GPT의 위력은 바로 직관적인 질문과 대답, 그리고 나아가 단순한 정보 제공이 아닌 웹 상의 정보를 조합한 '창작물'을 생성함과 동시에 손가락을 통한 키워드 입력 대신 음성인식 등으로 유저에게 자유가 안겨진다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
챗 GPT의 파급효과
챗 GPT는 단순한 정보 검색뿐 아닌 생성 AI이므로 에세이, 논문 등 글쓰기와 콘텐츠 제작(광고 카피라이팅, 소설, 노래 가사 등), 프로그래밍, 코딩, 번역 등 광범위한 영역에 인간을 대체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까지 완벽히 인간을 대체할 수준은 되지 않지만 기술 개발과 학습 속도가 진화하고 있는 점을 볼 때 그 미래는 멀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챗GPT 출시 이후 경쟁사인 구글은 대항마인 바드(Bard)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 외에도 메타, 베이징 지위안 인공지능 연구원, 네이버, 카카오, LG 등 초거대 AI를 보유한 기업들의 챗봇 서비스 경쟁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며 영어 사용권이 아닌 한국의 경우 한국어 학습능력이 높은 AI에 대한 인수합병 시나리오 등도 고려해 볼 만합니다.
'경제 경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 이차보전 사업 개시(feat. 중진공) (0) | 2023.03.21 |
---|---|
대중이 오마카세 예약에 줄을 서는 이유 (0) | 2023.02.08 |
연남동이 핫플레이스가 된 역사를 알아야 할 이유 (0) | 2023.02.05 |
사업가 마인드를 다지기 좋은 책, 원씽 독후감 (0) | 2023.01.06 |
정부자금을 활용한 매출 증대 방안(FT. 공간의 가치) (0) | 2023.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