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영 정보

EXIT(엑시트), 행복재테크 주인 송사무장(송희창) 지음, 서평

by HOLLO_Turnaround 2022. 8. 27.
반응형

행복재테크라는 카페가 있다. 처음에는 카페 주인이 송사무장이라는 사람이길래 단순히 부동산 경매 카페인 줄 알았는데 카페에 가입 후 이리저리 내용을 살펴보니 부동산, 사업 등 자본주의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카페였다. 단순히 부동산 투기꾼(?) 정도로 생각했던 것이 후회될 정도로 자본주의와 부동산, 사업 등에 대한 그의 진지한 자세와 깊은 담론에 감탄한 책이다.

 

EXTI(엑시트) 표지

 


 

1. 부자 마인드 탑재

 

저자는 부자를 '돈과 시간'을 모두 소유한 사람으로 정의한다. 이는 '부의 추월차선'에서도 언급되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노동 외의 현금흐름이 나오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즉 돈이 돈을 버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돈에게 일을 시키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저자는 본인에게 가장 적합했던 방법이 부동산 투자였고 돈을 벌어주는 부동산을 모으기 시작했다고 한다. 통상 아파트 투자 정도에서 멈추는 사례가 많은데 저자는 콕 집어서 실거주하는 아파트에 많은 레버리지를 일으키는 것은 매우 비합리적이라고 이야기한다. 왜냐하면 실거주 주택에 사용되는 레버리지는 '비용'일뿐이지 돈을 벌어주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부자의 시각으로 현상을 바라보는 것의 중요성을 이야기했는데 인상 깊었던 부분은 허름한 고시원 매물을 매입해 리모델링 과정을 거쳐 원룸으로 임차인을 세팅시킨 사례였다. 즉 사고를 틀에 가두지 않고 해결방법에 집중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2. 부동산 투자

 

저자는 3년을 의미있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시간으로 본다.

 

종잣돈이 부족한 사람 역시 레버리지, 공동투자 등의 방법을 통해 이를 이룰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데, 꼭 지켜야 하는 2가지 원칙은 ▲시세보다 싸게 매입하고, ▲그 부동산에 최소한의 자금이 묶이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시세차익을 보는 부동산도 좋지만 월세를 받는 부동산을 늘려나가는 것의 중요성을 언급한다.

 

여기에서도 부자와 일반인의 차이점을 설명해주는데 대중의 반대편에 설 때 성공할 수 있다고 한다. 해당 사례로 제주도 투자 열풍과 2008년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케이스를 설명해준다.

 

3. 사업으로 돈 벌기

 

사업은 공간과 시간을 쪼개는 것에서 비롯된다. 즉 소비자의 관점에서 적절한 규모의 시간과 공간으로 재화나 서비스를 쪼개어 제공하는 것이 바로 그 내용이다.

 

또한 '부자의 셈'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부동산 매입이나 사업의 경우 예상 수익을 미리 계산해보라는 것이다. 매장별 영업이익이나 투자자금 등에 대한 계산이 바로 그 사례다.

 

또한 사업은 본인의 노동력이 투입되지 않고 필요한 인력을 배치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말하며, 아이템과 지역은 신중하게 선택할 것을 제안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