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관심종목들에 대한 DART 알림을 보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등관련사항'이라는 내용이 종종 나타난다. 이는 최근 이슈가 많이 되는 ESG 관련 내용에 대한 자율공시 내용인데 도대체 ESG가 무엇이길래 기업들이 이렇게까지 노력을 기울이는지 궁금해졌다.
글의 목차
- ESG 개념
- ESG 투자 트렌드 및 관련 ETF
- ESG 등급 및 우수기업
ESG 개념
ESG란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함께 일컫는 말로, 환경·사회·투명 경영을 의미한다.
ESG 경영 도입은 영국을 시작으로 스웨덴, 독일, 캐나다, 벨기에, 프랑스 등 여러 나라에서 연기금을 중심으로 ESG 정보 공시 의무 제도를 도입하고 UN 역시 ESG 이슈를 고려한 사회책임투자를 장려하고 있다.
한국 역시 금융위원회가 2025년부터 자산 총액 2조원 이상의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에 대해 ESG 공시 의무화를 도입하고, 2030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ESG 투자 트렌드 및 관련 ETF
ESG 투자 트렌드
최근 ESG 경영이 주목받고 있는 중요한 원인은 기관투자자들이 투자 의사결정 시 지속가능 투자의 관점에서 기업의 재무적 요소와 함께 비재무적 요소인 ESG 요소를 계량화해 평가하기 때문이다. 기업의 ESG 성과를 활용한 투자 방식은 투자자들의 장기적 수익을 추구하는 한편 기업 행동이 사회에 이익이 되도록 영향을 주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최근 몇 년간 전통 화석연료 기반 또는 윤리경영을 소홀히 한 기업 실적이 악화되는 사례가 발생됨에 따라 ESG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작년 국제회계기준(IFRS)에서는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 설립을 공식화했는데 올해 연말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초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즉, ESG에 대한 전 지구적 관심과 트렌드를 포괄적인 공시로 반영하려는 시도이다.
초안은 크게 두 가지인데 1) 일반 요구사항으로 기업이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 및 기회에 대한 재무정보를 공시하도록 하는 내용이고, 2) 기후 관련 공시는 기업이 노출된 기후 관련 재무정보에 특정한 요구사항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국 상장사들에게 화두는 'RE100'인데 이는 2050년까지 기업이 필요한 전력량의 100%를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 재생에너지로 조달하겠다는 약속이며, 2022년 7월 말 기준 RE100에 가입한 기업의 수는 376곳에 이른다.
* 한국기업은 21곳 가입 : SK그룹, 미래에셋증권, KB금융그룹, LG에너지솔루션, 현대자동차, 기아, 현대모비스, KT, LG이노텍 등
ESG ETF
개별기업의 ESG 이행실태를 점검하는 것도 좋지만 우리에겐 ETF라는 좋은 상품이 있다.
우선 가장 큰 이슈인 "E", 환경에 대한 ETF이다.
- ICLN(iShares Global Clean Energy ETF) : 최대 운용규모 친환경 ETF
- TAN(Invesco Solar ETF) : 글로벌 대표 태양광 에너지 ETF
- LIT(Global X Lithium & Battery Tech ETF) : 리튬 채굴 및 배터리 생산 ETF
- PHO(Invesco Water Resources ETF) : 수자원 보존 및 수질 개선 장비 생산 기업 투자 ETF
다음은 S(사회)와 G(지배구조)에 투자하는 ETF이다.
- SHE(SPDR SSGA Gender Diversity index ETF) : 여성 임원 비중이 높은 기업 투자 ETF
- VOTE(Engine No.1 Transform 500 ETF) : 시총 500개 미국 기업에 투자하되 주주 행동주의 강화 목표 ETF
마지막으로 ESG에 종합적으로 투자하는 ETF이다.
- ESGU(iShares ESG Aware MSCI USA ETF) : ESG 특성을 가진 미국 상장 중대형주 투자 ETF
- SUSA(iShares MSCI USA ESG Select ETF) : ESGU와 유사한 ETF
ESG 등급 및 우수기업
ESG 등급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2021년 ESG 우수기업으로는 풀무원, 에쓰오일, 기아, 현대바이오랜드, SK머티리얼즈, DGB금융지주, 삼성카드 등이 있다.
2021 지배구조 우수기업으로는 SC제일은행, SK이노베이션, LG유플러스, 현대에버다임, KB국민카드, 현대캐피탈이 있다.
참고로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인 삼성전자와 현대차의 등급을 조회해보니 삼성전자 B+, 현대자동차 A등급으로 조회되었다.
이상으로 ESG 경영 관련 포스팅을 마치며 2025년 공시까지 ESG 관련 지표들을 충족시키는지는 꾸준히 체크해야 할 것 같다.
본 블로그의 포스팅은 주관적인 의견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지역 등에 대한 투자 권장, 권유 글이 아닙니다. 또한 포스팅에서 언급되는 전망, 현황, 수치, 지표 등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모든 투자판단과 의사결정, 거래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 : 자율주행차 분야 (0) | 2022.09.20 |
---|---|
잭슨홀 미팅 여파, '개박살' (0) | 2022.08.29 |
프리즈 서울 2022, 한국 미술산업 성장 관련 수혜 종목 서울옥션 케이옥션 (0) | 2022.08.27 |
잭슨홀 미팅 일정 관련 영향 예상 총정리 (0) | 2022.08.25 |
MAMA AWARDS 2022 11월 말 오사카 개최, 관련 주식 종목 수혜주는? (0) | 2022.08.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