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고마비의 계절, 선선한 가을이 오고 있습니다. 매년 봄과 가을에는 여행 갈 곳도 많지만 참석해야 하는 결혼식도 많은 계절인 것 같습니다. 친구, 직장동료, 후배, 동기 등 다양한 인간관계에 따라 고민되는 축의금, 오늘 범위를 정해드리겠습니다.
1. 축의금 고려사항
결혼식 축의금은 결혼을 축하하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내는 돈을 말하지만 현실에서는 축의금 범위에 따라 친분의 정도를 나타내는 표상이 되기도 합니다. 상대방 역시 내가 낸 축의금 범위에 따라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에 축의금 범위는 언제나 고민거리입니다.
먼저 첫번째 축의금 고려사항은 내가 먼저 결혼을 한 경우 상대방이 나에게 얼마의 축의금을 했는지를 기준으로 잡는 방법입니다. 가장 흔한 방법이지만 가장 부담이 없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상대방에 비해 내가 너무 많은 금액을 표시해도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고려사항은 식대입니다. 상대방이 나에게 5만 원의 축의금을 했더라도 세월이 흘러 예식장 대관비와 식대 등이 많이 올랐다면 평균적인 수준의 식대 이상의 금액을 하는 것이 마음이 편할 것입니다. 저 역시 친구가 고급 호텔에서 결혼식을 했을 때는 해당 식장의 식대 등을 고려해서 두둑하게 챙겨준 기억이 납니다.
마지막 고려사항은 관계의 지속성입니다. 앞으로 직장, 동호회, 대학 커뮤니티 등에서 계속 볼 사이인지에 따라 축의금은 달라져야 할 것입니다. 당연하게도 자주 보지 않을 사이라면 적당한 수준에서, 자주 볼 사이라면 섭섭하지 않게 챙기는 것이 맞겠지요.
2. 축의금 범위
그렇다면 앞에서 언급한 고려사항들을 참고해 축의금 범위를 정해보겠습니다.
1) 친구 및 대학동기
서로 부모님을 알고 지낼 정도로 친한 친구는 그룹이 있는 경우와 나와 둘만 친한 경우가 있습니다. 둘만 친한 경우에는 최소 20만 원에서 100만 원까지 다양한 범위 내에서 마음을 전할 수 있지만 그룹이 있는 경우에는 그룹 내 친구들과 협의를 해서 축의금을 하는 방법과 그룹의 이름으로 공동 축의금을 내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1년에 두어 번 보는 보통의 친구 사이라면 10만 원 수준을 추천합니다. 여기에 조금 성의를 더하고 싶다면 3~5만 원 수준의 카카오톡 선물 등으로 마음을 더하는 방법도 좋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1년에 한 번도 보기 어려울 정도의 데면데면한 사이라면 5만 원 정도의 축의금이 적당할 것입니다. 다만 식대가 비싼 곳이라면 오히려 참석하지 않는 것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2) 직장동료
직장 동료는 같은 부서에서 근무했던 직원이라면 10만 원을 기준으로 잡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에 각별한 사이라면 20만 원까지, 또는 3~5만 원 수준의 카카오톡 선물 등으로 마음을 더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짧게 같이 근무를 했거나, 옆 부서 등 얼굴 정도만 아는 사이라면 5만 원 수준이 적절합니다. 다만 식대가 다소 비싼 곳에서 열리는 결혼식에 본인이 참석을 한다면 10만 원 정도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됩니다.
이상으로 친구, 직장동료, 후배, 동기 등 다양한 인간관계에 따라 고민되는 축의금의 고려사항과 범위를 알아보았습니다.
'그 외의 기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추석 명절 인사말 문구 상황별 정리 (0) | 2023.09.27 |
---|---|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어야 하는 이유와 얻어야 할 것 (0) | 2023.09.26 |
ADsP(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자격증 안내(Feat. 금융권 경력직 이직 준비) (0) | 2023.09.22 |
내 땅에 남의 분묘가 있을 때 묘 주인에게 연락하는 방법 (0) | 2023.05.17 |
실외기실 베란다 세균 덩어리 비둘기 퇴치망 설치 후기(FT.가격 정보) (0) | 2023.05.15 |
댓글